기초수학/중학 수학
[스낵수학] 히스토그램, 도수분포다각형 정의
code cleaner
2022. 8. 9. 19:38
반응형
히스토그램이란?
도수분포표를 시각화한 그림
각 계급의 크기를 가로로, 도수를 세로로 하는 직사각형의 그래프
[참조] 히스토그램과 막대그래프의 차이
히스토그램 | 막대그래프 | |
데이터의 연속성 구분 | 연속적으로 변하는 양 (예: 몸무게, 시간 등) |
비연속적인 양 (예: 혈액형, 도시 등) |
막대의 폭 | 계급의 크기 | 의미 없음 |
시각화 | 막대 사이에 비 공간이 없음 (연속적으로 변하는 양을 설명하므로) |
막대들이 서로 떨어져 있음 |
https://ko.gadget-info.com/difference-between-histogram
히스토그램과 막대 그래프의 차이점
히스토그램과 막대 그래프의 기본적인 차이점을 알면 두 막대를 쉽게 식별 할 수 있습니다. 즉 막대 그래프의 막대 사이에 간격이 있지만 막대 그래프는 막대가 서로 인접 해 있습니다.
ko.gadget-info.com
히스토그램의 특징
1. 도수분포표보다 자료의 분포 상태를 쉽게 이해함(시각화)
2. 각 직사각형의 넓이는 각 계급의 도수에 정비례함
3.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 = 각 계급의 크기 x 그 계급의 도수의 합 = 계급의 크기 X 도수의 총합
도수분포다각형의 정의
히스토그램에서 각 직사각형의 윗변의 중에 점을 찍고,
양 끝에 도수가 0인 계급을 하나씩 추가하여
그 중앙에 점을 찍은 후, 찍은 점들을 차례로 연결하여
그린 다각형 모양의 그래프
도수분포다각형의 특징
1. 도수의 본포 상태를 연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음
2. 2개 이상의 자료의 분포 상태를 동시에 나타내어 비교하는 데 편리함
도수분포다각형의 주의사항
양 끝의 도수가 0인 계급은 실제 계급이 아니므로
계급의 개수에 포함시키면 안된다
반응형